Numerical Algroithms Decomposition


서론

Ax = b 식의 x 값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

Gaussian Elimination, LU decomposition, Cholesky Factorization, QR Factorization, Gram-shmit factorization

row substitution, row permutation, row scailing은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. b 값 또한 동일하게 substitution되고 scailing되기 때문이다.

그러나 column operation은 x 값을 바꿔주는 것이기 때문에 x의 위치를 어떻게 바꾸었는지 기록해 둬야 한다. (column swap은 book keeping 필요.)

Gaussian Elimination

  1. pivoting - partial pivoting 열에서 가장 큰 값이 pivot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row swap을 한다 - full pivoting 전체 행렬에서 가장 큰 값이 pivot에 위치하도록 한다 coloumn swap을 해야 할 경우 book keeping 필요하다

  2. row scailing pivot 값이 1이 되도록 row scailing 진행한다

  3. forward substitution scailingelimination 을 통해 Upper Matrix를 만들어 준다

  4. backward substitution scailingelimination 을 통해 Identity Matrix를 만들어 준다

Ax = b 값을 구하기 위해 Gaussian Elimination을 따로 해주어야 한다.

LU decomposition

Ax = b 값을 구할 때마다 Gaussian Elimination을 해준다고 하면 $O(n^3)$이 필요하다.

LU로 행렬을 $O(n^3)$을 통해 분해 한 후 $O(n^2)$ 만으로 Ax = b를 구할 수 있다. \[Ax = b \ , \ LUx = b \\ Ly = b \ , \ Ux = y \\ O(n^2) + O(n^2) = O(n^2)\] \[M_k M_{k-1} ... M_2 M_1 A \overrightarrow{x} = M_k M_{k-1} ... M_2 M_1 \overrightarrow{b}\]

\(U = M_k M_{k-1} ... M_2 M_1 A\) \(L = (M_k M_{k-1} ... M_2 M_1)^{-1} = M_1^{-1} M_{2}^{-1}..M_{k-1}^{-1} M_k^{-1}\)

A의 역함수를 정확히 구할 수 없다
그러나 L 같은 경우 쉬운 방법으로 U의 역함수를 구할 수 있다

즉, scailing 과 elimination 은 쉽게 역함수를 구해줄 수 있다.

Over-Determined Case

행렬 A가 non invertable 한 경우 값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본다

식이 미지수보다 많은 Over-Determined Case에 대해 알아본다

[n x m] [m x 1] = [n x 1]

n 이 식의 개수, m 이 미지수의 개수이다.

  • tall system은 식에 모순을 가지고 올 확률이 높다

  • exact solution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

\(min || Ax-b ||_2 = (Ax-b)^T (Ax-b) \\ = (x^TA^T-b^T)(Ax - b) = x^T(A^TA)x - x^TA^Tb - b^TAx + b^Tb \\ = x^T(A^TA)x - (b^TAx)^T - b^TAx + b^Tb \\ = x^T(A^TA)x - 2(A^Tb)^Tx + b^Tb \\\) 2-norm을 해줌으로써 구해지 4개의 값들 모두 상수이여야 한다. 상수는 $a = a^T$ 라는 특징을 갖는다 \((a^Tx)' = (a*x)' = a\) \(\triangledown (||Ax-b||) = ((A^TA+(A^TA)^T)x - A^Tbx = 0\) \(A^TAx = A^Tb\)

위의 식을 normal equation 이라고 하며 구하기 힘들다.

non-square 문제를 square 형태로 해결할 수 있다.

Invertable matrix ATA를 사용한다.

Under-Determined Case

식이 미지수보다 적은 Under-Determined Case에 대해 알아본다

[n x m] [m x 1] = [n x 1]

n 이 식의 개수, m 이 미지수의 개수이다.

  • 유일한 solution을 찾을 수 없다
  • 해에 대한 추가적인 가정이 필요하다

식에 대한 추가적인 가정을 하는 방법을 Regularization이라고 한다.

  • Regularization
    • Ridge Regularization $ min ||A\overrightarrow{x} - \overrightarrow{b}|| + \alpha ||x||_2^2 $ L2 Regularization이라도고 하며, 상대적으로 큰 값들에 대한 정규화를 해준다.
    • Lasso Regularization $ min ||A\overrightarrow{x} - \overrightarrow{b}|| + \alpha ||x||_1^2 $ L2 Regularization이라도고 하며, 모든 값들을 동일하게 줄여주어 여러개의 zero들을 갖는다.

Tikhonov Regularization

Rigde Regularization을 다른 말로 Tikhonov Regularization 이라고 부른다.

\((A^TA + \alpha I)x = A^Tb\) 다음 식을 통해 우리가 원하는 값을 구할 수 있다.

\(Rank(A) = m \\ Rank(A^TA) = m\) nxn 행렬이지만 rank 값이 그보다 작은 m 이기 때문에 non-inverable하다. 그렇기 때문에 alpha 값을 증가 시킬 수록 invertable 특성이 높아져 유일한 해를 결정 짓기 쉬워진다.

Choleskey Factorization

Ax = b에서 LU factorization 한 것과 같이 ATAx = ATb 에 대해서도 Choleskey factorization을 한다.

ATA 특성

ATA이 SPD(Symmetric Positive Definite)의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고 넘어가야 한다 우리는 SPD matrix Q를 factorize하는 방법을 배운다

  • Symmetric $A^TA$ 행렬은 symmetric 하다 $\begin{bmatrix} q_1q_1 & q_1q_2 & q_1q_3
    q_2q_1 & q_2q_2 & q_2q_3
    q_3q_1 & q_3q_2 & q_3q_3
    \end{bmatrix} $

  • Positive Definite

    • positive semi-definite : $x^T A^TA x \geq 0$

    • positive definite : $x^T A^TA x > 0$

    $x^TA^TAx = ||Ax||_2^2 \geq 0 $ 특성 상 positive semi-definite의 조건을 만족하며, 행렬의 모든 column들이 linearly dependent한 경우 positive definite 이다.

factorization

행렬 C가 SPD 특성을 갖는다고 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. \(E =\begin{bmatrix} \frac{1}{\sqrt{c_{11}}} & \overrightarrow{0} \\ \overrightarrow{r} & I_{n-1\times n-1} \\ \end{bmatrix} \\ C =\begin{bmatrix} c_{11} & \overrightarrow{v}^T \\ \overrightarrow{v} & \tilde{C} \\ \end{bmatrix}\) \[EC = \begin{bmatrix} \sqrt{c_{11}} & \frac{\overrightarrow{v}^T}{\sqrt{c_{11}}} \\ c_{11}\overrightarrow{r} + \overrightarrow{v} & \overrightarrow{r}\overrightarrow{v}^T + \tilde{C} \\ \end{bmatrix}\] \[c_{11}\overrightarrow{r} + \overrightarrow{v} = 0 \\ r_i = -\frac{c_{i-1}}{c_{11}} \\\]

\(ECE^T = \begin{bmatrix} 1 & 0 \\ 0 & D \\ \end{bmatrix}\) 결과로 나온 D 또한 SPD 행렬이다. \(...E_2E_1CE_1^TE_2^T... = I\)

\(L = E_1^{-1} E_{2}^{-1} ... E_{k-1}^{-1} E_k^{1} C = LL^T\) 이 과정들에서 구한 E 값을 이용해 L을 구할 수 있다

이 과정을 Choleskey factorization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

  • 성질
    • $\frac{n(n-1)}{2}$ 의 메모리 만을 사용하여 행렬을 저장할 수 있다
    • $O(n^2)$의 forward & backward substitution 을 갖는다
    • LU 사용 시 rounding error에 의해 SPD 특성을 잃을 수 있다
  • 가능한 이유
    • positive definite : $\sqrt{c_{11}}$ 을 구할 수 있다
    • Symmetry E와 ET를 곱해 upper과 lower matrix 을 0 으로 만들 수 있다

Choleskey Implementation

C = LLT에서 L 값을 쉽게 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.

\(L = \begin{bmatrix} L_{11} & 0 & 0\\ l_k^T & l_{kk} & 0\\ \times & \times & \times \\ \end{bmatrix}\) \(LL^T = \begin{bmatrix} \times & \times & \times \\ l_k^T L_{11}^T & ||l_{kk}||_2^2 + l_{kk}^2 & \times\\ \times & \times & \times \\ \end{bmatrix}\)

다음 과 같이 표현 할 수 있으며 이를 행렬 C 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질 수 있다. \[l_{k}^TL_{11} = c_{k}^T \\ l_{kk} = \sqrt{c_{kk} - ||l_k||_2^2}\]

Gaussian elimination을 통해 $l_k$ 를 구해준 후 위의 식을 이용해 $l_{kk}$ 를 구한다

첫 행부터 차례대로 이를 진행해 L 행렬을 구한다

시간복잡도

\(l_{k}^TL_{11} = c_{k}^T\) Lower matrix gaussian elimination은 O(n^2)의 시간 복잡도를 갖는다 각 행에 대해 elimination을 진행하므로 factorize 하기 위해 결과적으로 $O(n^3)$의 복잡도를 갖는다




© 2021.06. by ekspertos

Powered by theorydb